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1. 여랑야랑 오늘은 홍지은 기자와 함께 합니다. [첫 번째 주제] 보겠습니다. 누가 새해 다짐을 벌써 했나요? <br><br>홍준표 대구시장이 아주 원대한 새해 다짐을 했습니다. <br> <br>대구 시장은 축구팀인 대구FC 구단주를 겸하는데요. <br> <br>어제 대구FC가 충남FC를 이기면서 극적으로 잔류에 성공했습니다. <br><br>[홍준표 / 대구시장 (지난 6월)] <br>지금 대구 FC는 자율운영입니다. 너희가 프로들이니까 너희가 운영해라 대신 성적이 나쁘면 너희가 책임지고 나는 돈만 대줄 뿐이다 나는 물주다! <br><br>Q2. 홍 시장 기분이 좋겠네요. 그래서 새해 다짐이 뭐에요? <br><br>내년부터는 FC바르셀로나처럼 구단 운영 방식을 바꾸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FC바르셀로나는 세계적 시민 구단으로 유명하죠. <br><br>시민 주주로 운영되는 fc 바로셀로나 1군 연봉, 6천억원 입니다. <br> <br>반면 지자체 재정 투입한 대구 fc의 최고 연봉은 15억 정도인데요. <br> <br>재정적 지원, 확실히 하겠단 거죠. <br><br>Q4. FC바르셀로나처럼 가능할까요? <br><br>축구팬들 반응 보니, 응원한다는 분위기도 있지만, "바르셀로나와 비교하냐" "홍 시장이 경남지사 때 경남fc 강등됐었다" "잔류해서 세금 더 나가게 생겼다"등 냉소적 반응도 많았습니다. <br><br>구단 운영방식을 어떻게 바꿀지 지켜봐야겠습니다. <br><br>Q5. [다음 주제] 보겠습니다. 이재명 대표가 요즘 부쩍 많이 찾는 이름이 트럼프 당선인 인가요? <br><br>맞습니다. <br> <br>오늘 찾은 대구에서도 트럼프 당선인 이름이 나왔습니다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어제)] <br>안 해도 될 우크라이나에 돈을 뭐 하러 3조 원씩이나 대줍니까. 우리 국민들이 죽을 지경인데 <트럼프> 당선자도 종전한다고 지원을 중단한다는데… <br> <br>[이재명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달 29일)] <br>트럼프 당선자 측도 우크라이나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하는데 미국의 신임 행정부와 한번 싸워보자, 이런 태도로… <br><br>Q6. 우리는 왜 자꾸 우크라이나에 지원하느냐, 트럼프도 안 하는데 이 논리더군요. <br><br>윤석열 정부보다 내가 더 트럼프 당선인과 잘 맞는다, 과시라는 해석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그렇다보니 이런 주장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[이재명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달 25일)] <br>(러시아-우크라) 종전이 실현된다면, <트럼프> 대통령에 대한 <노벨평화상> 추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… <br> <br>[김민석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지난달 30일)] <br>50일 후 <트럼프> 취임 전에 판을 바꿉시다. 트럼프에겐 평화로 <노벨상>을 권합시다. <br> <br>[트럼프 / 미국 대통령 당선인 (2018년 4월)] <br>“노벨.” <br><br>Q. 이재명 대표, 공직선거법 1심 유죄 나왔을 때도 트럼프 이름 나왔었죠. <br><br>최근 미국 검찰이 트럼프 당선인을 기소하지 않기로 결정했죠. <br> <br>사법리스크가 골치인 이 대표, 트럼프 당선인처럼 될 수 있다면 참 좋겠죠. <br><br>Q. [마지막 주제] 보겠습니다. 요즘 시위 현장에 빠질 수 없는 아이템이 있나요? <br><br>네. 근조 화환입니다. <br> <br>요즘 시위 필수템으로도 불린다고 하는데요. <br><br>가장 최근 동덕여대 사례만 봐도요. <br> <br>이렇게 건물 앞에 근조 화환이 길게 늘어서있죠. <br> <br>추모의 상징인 근조 화환이 시위나 집회 현장에 활용되는 겁니다. <br><br>Q. 그런데 이 꽃 행렬을 정치권에서도 많이 봤잖아요. <br><br>정치권에서도 자주 등장하죠. <br><br>한동훈 당시 비대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화환도 대거 보내졌고요. <br> <br>지지자들의 축하 꽃도 의사 표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. <br><br>Q. 화훼 농가들 좋아하겠는데요? <br><br>집회 근조 화환을 주로 취급하는 업체들에 물어봤더니 수십개씩 한 번에 주문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고 반겼습니다. <br><br>[화훼업계 관계자 (오늘, 여랑야랑 취재)]<br>"많이 주문하셔도 접수됩니다. 보통 시키시면 60개에서 100개씩도 시키시고…" <br><br>하지만 생각보다 화훼농가들의 체감도는 높진 않다고 합니다. <br><br>[임육택 / 한국하훼단체협의회 회장(오늘, 여랑야랑 취재)] <br>"시위성 데모를 할 때 화환을 보내면 농가에 득이 되느냐, 택도 없는 이야기 거기에는 전부 (중국산) 플라스틱 꽃이 많이 갔다…" <br><br>화환은 크고 화려하다보니 대중의 이목을 끌죠.<br> <br>정치 도구로 확실하게 자리매김 한 듯합니다. (화환정치) <br><br>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홍지은 기자, 김민정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, 황연진AD <br>그래픽: 디자이너 이승희<br /><br /><br />홍지은 기자 rediu@ichannela.com